효과적인 환경관리
환경과 이해관계자를 먼저 생각하는 건설 관리환경 친화적 사업계획 수립
환경사고 예방
환경경영 역량강화
동부건설은 친환경 사업 수행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동부건설은 기업활동에 수반되는 모든 환경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한 체제를 구축하여
1996년에 ISO 14001 규격을 취득하여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습니다.
동부건설은 지속가능한 녹색건설을 목표로
다양한 환경 이슈에 대하여 대응전략을 수립, 실천하고 있습니다.
동부건설은 ISO 14001, 45001 및 ESG 모범규준 등을 기반으로 기후변화 요인에 따른 영향을 정기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 위기에 대한 리스크는 최소화하고, 사업의 기회는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구분 | 당사에 미치는 중대성 정도 |
기후변화 관련 재무적 영향 | ||
---|---|---|---|---|
리스크 요인 | 기회 요인 | |||
자연적 요인 |
자연 재해 (홍수, 폭설 등) | High |
|
|
지구 온난화 | Medium |
|
|
|
사회적 요인 |
ESG경영 대두 | Medium |
|
|
정부 규제 강화 | High |
|
|
|
고객 Needs 변화 | Medium |
|
|
동부건설은 기후변화 대응의 일환으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중장기 목표 로드맵을 수립하여 이행하고 있습니다.
국가정책에 발맞추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40% 감축, 2050년 탄소중립(NET-ZERO) 실현을 목표로하며,
향후에도 국가정책에 부합하는 세부이행 과제 수립과 실천으로 노력을 기울이도록 하겠습니다.
동부건설은 환경을 아끼고 실천에 앞장서는 녹색경영을 실천하기 위하여 사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생물다양성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건설공사 수행 전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사업장 인근 멸종위기 및 천연기념물 등의 보호종을 식별하여 서식지 보존 또는 보호대책을 수립하여 이행하고 있습니다.
현장명 | 법정보호종 | 활동내용 | |||
---|---|---|---|---|---|
양서류/파충류 | 포유류 | 조류 | 양치류 | ||
인천검단지구3-1 | 맹꽁이(II급) | - | - | - |
|
월곶~판교1 | 맹꽁이(II급) | - | - | - |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 | - | 수달(I급) | 검은머리물떼새(II급) | - |
|
새만금 신항 접안시설 | - | - | 검은머리물떼새(II급) 알락꼬리마도요(II급) |
- |
|
호남고속철도 2-2 | - | 삵(II급) | 매(I급) | - |
|
팔당대교와부 | 맹꽁이(Ⅱ급) | 수달(I급), 삵(II급) | 큰기러기(Ⅱ급) 큰고니(Ⅱ급) 황조롱이(천) 매(Ⅰ급) 흰꼬리수리(Ⅰ급) 새매(Ⅱ급) 흰목물떼새(Ⅱ급) 소쩍새(천) |
- |
|
정림중사정 | - | 수달(I급), 삵(II급) | 원앙, 황조롱이 | - |
|
군산전북대병원 | - | - | - | 물고사리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
|
동부건설은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설계단계에서부터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고, 공정별 환경영향 요인을 추출하여 시공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현장명 | 구분 | 개선활동 |
---|---|---|
새만금 신항 북측방파호안 새만금 신항 접안시설 |
해양 |
|
호남고속철도 2-2 | 대기 |
|
수질 |
|
|
월곶~판교1 | 대기 |
|
동부건설은 건축물 시공 시 녹색건축물 인증제도를 통해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녹색건축물 인증제도는 설계와 시공, 유지, 관리 등 전 과정에 걸쳐 에너지 절약과 환경오염 저감에 기여한 건축물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로서 녹색건축 인증을 받은 건축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환경사고 예방, 환경오염 저감, 환경리스크 점검, 환경관리 역량 확보 등을 위하여 동부건설은 전 현장 대상으로 상시적으로 환경리스크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 2024년 기준
점검 대상 | 점검 주관 | 점검 유형 | 점검 횟수 | 비고 |
---|---|---|---|---|
동부건설 전체 현장 | 본사 기술연구소기술팀 | 현장 지원점검 | 47회 | 현장별 연 1회 이상 방문 |
온라인 점검 | 2회 |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자체 점검 실시 |
교육명 | 교육대상 | 교육인원 | 교육일시 | 교육목적 |
---|---|---|---|---|
신입사원 기본교육 | 2024년도 신입사원 | 55 | ’24.03.13, ’24.10.17 | 기본적 직무역량 함양 |
품질/환경관리 교육 | 본사 및 현장직원 | 73 | ’24.01.29, ’24.02.06 | 직무교육을 통한 업무능력 향상 |
경력사원 건설공사 품질/환경 관리 교육 |
2024년도 경력사원 | 29 | ’24.05.30 | ESG 경영 관련 회사의 추진방향 공유 |
관리팀장교육 | 현장 관리팀장 | 26 | ’24.11.14 | 현장 업무관리역량 향상 |
동부건설은 유사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변화하는 환경규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임직원에 대한 적절한 환경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장의 관리팀장 및 담당자는 물론,
신입사원과 신규 입사자에 대한 기본적인 환경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착공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환경 Risk 사전예방과
대응을 위한 교육 또한 진행하고 있습니다.
관리팀장 폐기물 및 주요 환경법규 교육
신입사원 기본 환경교육
신규 착공 현장 환경교육
경력사원 기본 환경교육
동부건설 전 임직원은 <일회용품 Zero>, <플로깅 동부> 등의 캠페인 활동에 참여 함으로서 환경을 아끼고 실천에 앞장서는 녹색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 2024년 기준
구분 | 참여인원(누계) | 참여시간(누계) |
---|---|---|
플로깅 동부 | 290명 | 1,332시간 |
※ 2024년 기준
구분 | 참여부서(누계) | 참여횟수(누계) |
---|---|---|
일회용품 Zero | 55팀 | 183회 |
※ 2024년 기준
구분 | 참여부서(누계) | 참여횟수(누계) |
---|---|---|
에너지절약 및 탄소중립 참여 | 12팀 | 29회 |
동부건설은 지속가능한 녹색건설이라는 기업 비전의 달성과 탄소중립을 통한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친환경 기술개발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으로부터 건설폐기물 저감기술에 대한 녹색기술 인증을 취득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친환경 기술개발을 통해 회사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환경을 보호하는데 앞장서겠습니다.
동부건설은 환경경영을 실천하기 위하여 친환경 매출 산정 기준을 수립하고 실적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매출 산정은 환경부에서 발표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24.12.) 중 활동기준을 차용하여 내부 기준을 수립하고,
해당 기준에 따라 친환경 매출 집계 후 실적은 한국ESG기준원 권고사항인 2개년 이상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매출 산정 기준
녹색부문 | 분야 | 경제활동 | 구분 | 당사 이행 및 추진현황 |
---|---|---|---|---|
1. 온실가스 감축 | 나. 발전, 에너지 | (1)재생에너지 생산 : 태양광, 태양열, 풍력, 수력, 해양에너지, 지열에너지, 수열에너지 (이에 필요한 설비구축) |
① | 수상태양광, 해상풍력 사업 진출 및 매출 증대 추진 |
다. 수송 | (1)무공해차량·철도차량·건설기계·농업기계· 선박· 항공기·자전거 제조 (이에 필요한 설비구축) |
② | 철도건설 및 지하철, 공항 필요설비 공사 진행 | |
라. 도시·건물 | (2) 제로에너지 건축물 또는 녹색건축물 신규 건설· 리모델링 및 취득 |
③ | 제로에너지 건축물 신축 진행, 녹색건축물 추진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건축물 실적 다수) |
|
2. 기후변화 적응 | 가. 기후변화 적응 | (2) 재난 방지 및 기후 예측시설·시스템 구축·운영 | ④ | 재난방지를 위한 댐 건설, 침수방지 시설 공사, 연안정비 사업 다수 진행 |
3. 물의 지속 가능한 보전 | 가. 물 | (1) 물 공급 / (2) 물 수요 관리 | ⑤ | 용수개발사업, 정수장 설치 및 관개수로 개선이 포함된 농촌개발사업 등 다수 진행 |
(3) 하수·폐수 처리 및 가축분뇨 정화 | ⑥ | 하수관로, 오수관로, 공공하수 처리시설 공사 등 관련 사업 다수 진행 |
친환경 매출 사업구분별 활동기준
사업구분별 활동기준 | |
---|---|
① 발전, 에너지 | 전력, 열 중 하나 이상을 생산, 공급하기 위하여 (1) 태양광, (2) 태양열, (3) 풍력, (4) 수력, (5) 해양에너지, (6) 지열에너지, (7) 수열에너지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발전설비, 열병합 발전설비, 열 생산설비를 구축·운영하는 활동 |
② 수송 | 무공해(전기, 태양광, 수소) 차량·철도차량·건설기계·농업기계·선박·항공기·자전거* 생산 및 이에 필요한 설비를 구축·운영하는 활동 |
③ 도시·건물 | (1) 건물 신축, (2) 기존 건물 그린리모델링, (3) 건물 취득하는 활동 |
④ 기후변화 적응 | 태풍, 홍수 등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 방지 또는 기후 예측시설·시스템을 구축·운영하는 활동 |
⑤ 물 (공급) | 생활용수 또는 공업용수 공급을 위해 원수를 취수 또는 정수하거나 이를 배관을 통해 급수하는 설비를 구축·운영하는 활동 물 수요 관리를 목적으로 (1) 상수도 관망을 관리(세척, 누수탐사·복구 등 누수 관리, 상수도관망시설의 점검·정비 등)하거나 (2) 절수설비·기기를 보급·설치하는 활동 |
⑥ 물 (처리) | (1) 하수·분뇨, (2) 폐수, (3) 가축분뇨를 수집·운반 또는 처리·정화하기 위한 설비를 구축·운영하는 활동 |
친환경 매출 실적
구분 | ‘23년 매출 (제55기) | ‘24년 매출 (제56기) | 비고 |
---|---|---|---|
전체 매출 | 17,981억원 | 15,631억원 | 재무제표 기준 |
친환경 매출 | 1,241억원 | 1,451억원 | 전년 대비 210억원 증가 |
친환경 매출비율 | 6.9% | 9.3% | 전년 대비 2.4%p 증가 |
온실가스 및 에너지
온실가스 배출량 (tCO2-eq)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실적 | 실적 | 계획 | 실적 | ||||
매출액 (억원) | 13,001 | 17,981 | 20,850 | 15,632 | |||
집약도 | 1.02 | 0.87 | 1.10 | 0.72 | |||
합계 | 본사 | 512 | 413 | - | 455 | ||
건설현장 | 12,702 | 15,249 | - | 10,861 | |||
지표(합계) | 13,214 | 15,662 | 15,763 | 11,316 | |||
Scope1 | 본사 | 103 | 72 | - | 88 | ||
건설현장 | 6,901 | 6,247 | - | 4,265 | |||
지표(소계) | 7,004 | 6,319 | - | 4,353 | |||
Scope2 | 본사 | 409 | 341 | - | 368 | ||
건설현장 | 5,801 | 9,002 | - | 6,595 | |||
지표(소계) | 6,209 | 9,343 | - | 6,963 |
에너지 사용량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실적 | 실적 | 계획 | 실적 | ||||
집약도 | 0.19 | 0.13 | 0.16 | 0.11 | |||
연료 사용량 (㎘) | 본사 | 27 | 17 | - | 24 | ||
건설현장 | 2,497 | 2,393 | - | 1,630 | |||
지표(합계) | 2,524 | 2,410 | 3,378 | 1,655 | |||
집약도 | 1.04 | 1.13 | 0.96 | 0.97 | |||
전력 사용량 (Mwh) |
본사 | 889 | 742 | - | 800 | ||
건설현장 | 12,627 | 19,595 | - | 14,356 | |||
지표(소계) | 13,516 | 20,337 | 20,079 | 15,156 | |||
집약도 | 1.44 | 1.37 | 1.12 | 1.88 | |||
도시가스 사용량 (N㎥) |
본사 | 18,707 | 14,839 | - | 13,829 | ||
건설현장 | - | 9,842 | - | 15,520 | |||
지표(소계) | 18,707 | 24,681 | 23,269 | 29,349 |
* 2022년도부터 계획 수립
** 집약도 : 매출액 1억원당 발생량·사용량
용수 및 폐기물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실적 | 실적 | 계획 | 실적 | |||
용수 (m³) |
집약도 | 6.99 | 4.87 | 4.25 | 6.48 | |
지표 | 90,895 | 87,487 | 88,621 | 101,340 | ||
상수도 | 72,401 | 78,999 | - | 94,352 | ||
지하도 | 6,323 | 3,793 | - | 4,700 | ||
하천수 | 11,921 | 4,695 | - | 2,288 | ||
재활용수 *** | 250 | - | - | - | ||
폐기물 (ton) |
집약도 | 4.08 | 2.00 | 6.03 | 3.07 | |
지표 | 53,108 | 35,962 | 125,729 | 48,018 | ||
매립 | - | - | - | - | ||
소각 | - | 41 | - | 18 | ||
재활용 | 53,108 | 35,921 | - | 48,001 |
*** 재활용수 : 건설현장 中 담수 및 용수 재이용 가능현장 기준
수질 및 대기 오염물질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수질오염물질 (mg/L) |
BOD | 2.83 | 2.77 | 5.24 |
COD | 3.09 | 4.18 | 3.24 | |
TOC | 0.70 | - | - | |
SS | 4.11 | 4.33 | 4.19 | |
대기오염물질 (mg/m³) |
NOX | 0.01 | 0.01 | 0.01 |
SOX | - | - | - | |
PM10 | 23.79 | 34.77 | 29.20 | |
PM2.5 | 14.03 | 20.69 | 19.68 |
주요자재 사용실적
※ 2024년 기준
품목명 | 사용량 | 단위 | 비고 |
---|---|---|---|
철근 | 42,127 | TON | - |
레미콘 | 459,463 | M3 | - |
시멘트 | 29,155 | TON | - |
순환골재 | - | M3 | 재생원료 / 단산부석사 현장 |
순환모래 | 13,104 | M3 | 재생원료 / 경기북부전력구 현장 |